5-4 패키지에서 cmd 실행이 안 되어서 다시 공부해보았다.
cd / -> 이걸 써서 최초의 디렉터리(?)로 돌아가 실행해보니 되었다!
디렉터리 안에 들어간 파일이 패키지인지 인식시키는 법: __init__.py 파일을 넣어놓으면 됨
패키지 안의 함수 실행법
1번
1. set PYTHONPATH=C:/doit 명령어를 통해 python이 실행할 때 C드라이브에 있는 doit 파일을 참조하도록 함
2. python 실행
3. import game.sound.echo를 통해 game 안의 sound 안의 echo를 import함
4. game 안의 sound안에 있는 echo 안의 echo_test() 함수를 실행함
5. echo 출력됨(echo_test(): print("echo"))
2번
1. from game.sound import echo game.sound 에서 echo 파일을 import
2. echo.echo_test() 실행 -> echo 출력
3번
1. from game.sound.echo import echo_test
2. echo_test() 실행 -> echo 출력
패키지를 사용하는 이유:
이미 만들어진 파일 안에서의 함수를 내가 직접 작성하는 것이 아니라 '참조'해서 가져와 사용하고 싶을때 사용
5-6 라이브러리 random 모듈
1. random 모듈을 가져옴
2. random_pop(data) 함수를 정의(data를 입력받는 함수)
3. random_pop 함수 안엔 number 라는 변수가 있음
4. 그 변수 안에는 random모듈의 randint라는 함수를 사용함(randint는 정수인 난수를 꺼내는
함수)
5. randint로 0부터 len(data)-1 사이의 숫자를 꺼내게 됨
6. return data.pop(number) -> data 안의 (number)번째 숫자를 꺼내고 그 숫자를 삭제해라
1. 이 파이썬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__name__ 변수가 "__main__"과 같아진다
2. 그러면 data라는 변수에 [1, 2, 3, 4, 5]라는 리스트 자료형이 들어감
3. data가 true일 때 random_pop(data) 함수를 실행해라
=> 그러면 파이썬 함수가 실행될때, 바로 random_pop 함수가 실행됨(내가 실행시키지 않아두!)
number = random.randint(0, len(data)-1)의 (0, len(data)-1)
1. len(data)는 5가 된다
-> 왜냐하면 len함수 안에 리스트가 들어왔을때 리스트 안의 요소 갯수를 샌다
2. 그러면 randint(0,4)가 되는데, 파이썬은 첫번째가 0이므로 -1을 해서 6개의 요소중에서 하나를 고르는 것이 아닌 data의 요소 갯수인 5개 중에서 하나를 고르게 됨
return data.pop(number)
- number은 0~4 중 하나의 숫자가 될 수 있음
- data([1,2,3,4,5])라는 변수이름의 리스트 자료형 안에서 0~4번째의 숫자를 꺼내고, 그 숫자를 리스트에서 삭제(중복방지)
이해되니까 재밌다!
'컴퓨터 프로그래밍 > Pyth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파이썬 예제 51 - 60 (0) | 2023.02.07 |
---|---|
점프 투 파이썬(2022) 5-6 라이브러리, 5장 연습문제 (0) | 2023.02.02 |
점프 투 파이썬(2022) 5-4 예외처리 (0) | 2023.01.27 |
점프 투 파이썬(2022) 5-2, 5-3, 5-5 (0) | 2023.01.27 |
점프 투 파이썬(2022) 5-1 (0) | 2023.01.22 |